본문 바로가기

Unreal36

[Unreal] 디폴트 프로젝트 세팅 1. 프로젝트 생성 : 탬플릿을 고르고 프로젝트를 원하는 위치에 생성한다. 2. 새 레벨 생성 : 상단 바에서 [파일 > 새 레벨] 로 새 레벨을 만들고, 다른 이름으로 저장으로 새 레벨을 원하는 위치에 저장하기. 3. 우측 상단의 기어모양 세팅에서 [프로젝트 세팅 > 프로젝트 > 맵&모드 > 에디텉 시작맵]을 방금 생성한 레벨로 설정한다. 4. 레벨 에셋을 가져온다. 2025. 2. 6.
[Unreal] 유용한 정보 모음 2025.1.15 시작 엔진언리얼 리플렉션 : 프로그램이 실행시간에 자기 자신을 조사하는 기능입니다. 이는 엄청나게 유용한 데다 언리얼 엔진 테크놀로지의 근간을 이루는 것으로, 에디터의 디테일 패널, 시리얼라이제이션, 가비지 콜렉션, 네트워크 리플리케이션, 블루프린트/C++ 커뮤니케이션 등 다수의 시스템에 탑재된 것입니다. Frame :  순간의 화면 이미지 Frame rate : 초당 프레임 수(FPS) DeltaTime : 1프레임을 연산하는데 걸리는 시간. 속도에 DeltaTime을 곱해서 프레임에 독립적인 속도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 언리얼 C++ SetActorLocation(Vector) : 액터의 위치를 지정된다. Beginplay(): 씬이 시작되거나 액터가 스폰될 때 실행된다. Tick(.. 2025. 1. 15.
[Unreal] 라이브 코딩 문제 Unreal 엔진에서 프로젝트를 수정하고 저장을 하더라도 디스크에 영구적으로 저장되지 않는다.C++코드를 컴파일 및 로드해도 변경점이 돌아오지 않는다면 덮어씌워지기 전에 Unreal 에디터를 닫는다. 닫은 상태에서 Visual Studio Code에서 Ctrl + Shift + B 로 빌드작업을 불러온다. 그리고 언리얼을 켜서 확인하면 돌아와 있을 것이다. 대부분 이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다. 하지만 다른 문제가 있는 것 같은 경우 핫 리로드로 돌아갈 수 있다.상단 탭의 편집(Edit) > 에디터 개인설정 > 일반(General) > 라이브 커딩 > 라이브 코딩 활성화를 체크 해제하고 언리얼 에디터를 다시 시작하면 변경 사항을 영구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. #라이브 코딩은 코드 에디터의 변경점에만 영향을 .. 2025. 1. 13.
[Unreal] 언리얼 버전에과 비주얼 스튜디오 버전의 호환성 체크 https://dev.epicgames.com/documentation/en-us/unreal-engine/setting-up-visual-studio-development-environment-for-cplusplus-projects-in-unreal-engine 현재 Unreal 최신버전인 5.5에 호환되는 VS 버전 공식 문서입니다. 왼쪽 탭에서 사용하는 버전을 찾고 호환되는 VS 버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5.5버전 기준으로 VS 2019는 지원하지 않고, VS2022 버전을 사용해야 하네요!  추가로 언리얼 개발용으로 Visual Studio 사용할 예정이라면 설치할 때C++을 사용한 게임 개발을 체크하고 세부 정보에서 Unreal Engine 설치 관리자를 체크해야 언리얼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. 2025. 1. 12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