기타/토익

[영어 문법 정리] 3. 수일치와 수동태

leejiwoo21 2024. 11. 29. 17:25

1. 주어와 동사의 수일치

1) 주어와 동사는 반드시 수일치가 되어야 한다. 수일치 확인은 필수이자 습관이다.

ㄴ 주어와 동사 사이에 있는 수식어구는 반드시 괄호처리하여 소거하기

 

2) 긴주어(동명사, to부정사, 명사절)은 단수 취급한다.

 

3) 부분을 의미하는 대명사들은 'of 뒤의 명사'에 수일치를 시킨다.

ㄴ ex) 물의 일부 > 물은 셀 수 없으므로 단수 취급

ㄴ ex2) 돈의 일부 > 돈은 셀 수 있으므로 복수 취급

 

a number of / the number of  구별하기

ㄴ 둘 다 복수명사를 취한다.

ㄴ a number of + 복수명사 + 복수 동사 = "많은" 으로 해석, 복수명사가 주어이기 때문에 복수 동사가 온다.

ㄴ the number of + 복수명사 + 단수 동사 = "복수명사의 수"로 해석, 주어가 the number of이기 때문에 단수 동사가 온다.

 

 

2. 능동태와 수동태

1) 능동태는 목적어 명사를 취하고, 수동태는 목적어 명사를 취하지 않음.

ㄴ 수동태는 be + p.p

 

2) 자동사는 목적어가 없어서 수동태로 만들 수 없다.

ㄴ 단, 자동사와 전치사의 조합으로 목적어가 생기면 수동태가 가능하다.

 

*3) 감정동사는 사람 사물! 사람은 감정을 느끼기 때문에 be p.p / 사물은 감정을 주기 때문에 ing

 

4) 수동태는 행위자를 표현할 때 by를 쓰지만 그 외의 전치사를 쓰는 동사도 있다.

ㄴ by = ~에 의해서

ㄴ *최신 토익 기준 해석문제로 출제됨 > 암기 부담 X

ㄴbe devoted to / be dedicated to / be committed to 헌신/전념하다

ㄴbe based on / be known for  ~에 근거하다

ㄴbe interested in ~에 관심이 있다.

 

5) 4형식 동사의 수동태는 주어와의 해석으로써 구분한다.(해석이 문법보다 우선!)

ㄴ 수동태 = 목적어가 주어가 되고, 동사가 be p.p가 됨 =  S + be + p.p 

ㄴ 4형식 동사의 수동태 = S + be + p.p +O > 목적어2개이기 때문에 1개가 남음

 

6) 5형식 동사의 수동태는 보어가 남음

ㄴ S + be + p.p + C

 

동사 문제에서 빈 칸 뒤에 to부정사가 있을 때는 해석으로 능동 / 수동을 구분한다.

 

요약

1. 일반적인 수동태 (be p.p) 뒤에는 수식어 자리이다 (부사, 전명구)

2. 4형식 동사의 수동태 뒤에는 목적어(명사)가 올 수 있다.

3. 5형식 동사의 수동태 뒤에는 보어(형용사, 명사)가 올 수 있다.